2022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(자연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)
□ 근거 :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 34조의 9 및 제 35조, 2022 과기정통부 안전한국훈련 기본계획(기상안전기획관, '22.9)
□ 훈련의 목적
ㅇ 자연우주물체의 추락·충돌 위험과 재난 발생의 특성 공유
ㅇ 관계부처 간 원활한 협업을 위한 협업체계 점검과 자연우주물체의 추락·충돌 위험 예측 및 예상 정보의 사전 공유에 따른 관련 부처의 사전 대비계획 수립 점검 및 대응 능력 향상
ㅇ 위기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중앙사고수습본부의 운영 능력 향상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의 협력 점검
□ 일시 및 장소
ㅇ 일시 : ’22.11.14.(월), 14:00~16:40 (토론 및 현장훈련)
ㅇ 장소 :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실(대면 및 영상회의), 한국천문연구원 잔디밭
□ 훈련 재난 상황
ㅇ (토론/ 11/9(D-5), 11/14 14:05~15: 10 )
- 10m급 크기* 소행성의 지구 충돌 가능성 발견 및 충남지역 상공 폭발 등으로 인한 통신‧화학물질‧화재 등 복합재난 발생
- ① 재난특성 공유 ② 경보발령 및 상황전파, ③ 대비계획 수립과 긴급대응조치 및 수습복구
ㅇ (현장훈련/ 11.14 16:00 ~ 16:40 ) 30m급 운석이 천문연구원에 추락한 가상 시나리오
□ 참여기관
ㅇ 우주위험대책본부 참여부처·기관 및 유관기관 등 17개 기관
- 과기정통부(주관기관), 국방부, 행안부, 외교부, 기상청, 국토부, 해수부, 환경부, 보건복지부, 소방청, 경찰청, 교육부, 산자부, 지자체, 천문연, 지자연, 원자력연 등